HowTo - 윈도우 BIOS 모드가 UEFI or LEGACY 인지 확인하는 방법 컴퓨터 구입시 이미 설치된 윈도우 또는 무심코 설치한 윈도우가 어떤 BIOS 모드로 설치 되어있는지 궁금하다면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까요? 내 PC에 설치된 운영체제가 어떤 모드인지 알아보기 앞서, UEFI 또는 Legacy 모드라 불리는 BIOS 모드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부터 살펴보겠습니다. BIOS는 Basic Input Output System의 약자로 데스크톱, 노트북에 탑재된 펌웨어, 즉 소프트웨어 입니다. IBM에서 PC를 처음 발표한 뒤 30년 가까이 대부분의 PC에서 기본 펌웨어로 사용되고 있으며, 시스템과 운영체제 사이에서 하드웨어를 제어하고 운영체제를 부팅하는 역할을 합니다. UEFI는 Unified E..
HowTo - 윈도우 Alt+Tab Switcher 꿀팁 기본적으로 Alt+Tab 단축키를 사용하여 현재 열려있는 프로그램을 전환할 수 있습니다. Alt 키를 누른 상태에서 Tab 키를 눌러 현재 열린 창을 차례대로 스크롤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 작업 전환기는 일반적으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하며, Tab 키를 눌러 원하는 창 주위에 윤곽선이 보이면 Alt 키를 눌러 창을 선택합니다. 만약 원하는 창을 지나친 경우 Alt+Shift +Tab 키를 사용하여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윈도우 작업 전환기를 이용한 다양한 활용 방법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Windows 10 Alt+Tab Switcher Tips 1 화살표 키로 창 선택 화살표 키를 이용해 Alt+Tab 에서 원하는 ..
HowTo - 크롬 탭 전환, 검색으로 빠른 탭 선택 많은 분들이 윈도우에서 여러 프로그램을 동시에 사용할 때 Alt+Tap 단축키로 프로그램 간 작업 전환을 자주 사용합니다. 작업 표시줄에서 마우스로 직접 선택하는 방법도 있지만, 바로 직전 작업 창을 왔다 갔다 할경우 키보드 단축키는 매우 편리합니다. 그러나 크롬을 비롯해 인터넷 브라우저에 '새 탭'이란 기능이 도입되며, 인터넷에서 만큼은 큰 효율을 기대하기 어려워졌습니다. 여러 웹 사이트를 동시에 접속하며 새 창이 아닌 새 탭을 이용할 때, 윈도우 작업 전환기로는 탭 간 이동이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물론 크롬에서도 탭 간 전환이 가능한 단축키가 있습니다. 바로 Ctrl+Tap 단축키로 다음 탭을 선택할 수 있고, 작업 전환기와 마찬가지로 Ctrl+..
HowTo - 최근 사용한 파일 바로 가기 폴더에 한 눈에 살펴보기 Microsoft Outlook Office 365에서 메일 작성 시 '파일 첨부' 버튼을 눌러보면 이미지, 엑셀, 한글 등 프로그램을 가리지 않고 최근 작업한 파일의 목록이 보여집니다. 방금 작성한 문서 파일을 메일로 발송할 경우 파일이 위치한 경로까지 이동하지 않고도 손 쉽게 파일 첨부가 가능합니다. 파일 탐색기에서도 최근 사용한 파일을 바로 접근할 수 있다면 매우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물론 기본적으로 윈도우10 파일 탐색기에는 '바로 가기' 위치에서 최근 열었던 파일을 보여주지만, 다른 가족이 다른 컴퓨터를 사용할 때 파일 탐색기에서 최근 사용한 파일이 바로 표시되어 개인적으로 선호하지 않습니다. 이 때문에 탐색기에서 최근..
HowTo - 윈도우 최대 절전 모드 전원 메뉴에 추가하기 윈도우는 디바이스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옵션이 제공 됩니다. 특히 노트북 사용 시 배터리를 절약해야 하는 상황에서 매우 유용하지만, 일반 PC에서도 환경 보호 측면에서 유용한 기능입니다. 참고로 "절전 모드(Sleep mode)"는 컴퓨터의 모든 프로세스가 종료되고, 실행중인 프로그램 및 앱, 문서 등의 데이터는 모두 시스템의 램에 저장됩니다. 이때 컴퓨터를 다시 사용할 때 바로 복구될 수 있도록 최소한의 전력만으로 유지되고, 절전 모드에서 다시 사용 상태로 전환되는 시간은 2~3초면 충분합니다. 잠시 자리를 비울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죠. "최대 절전 모드(Hibernation)"는 절전 모드와 매우 유사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