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말정산 가장 많은 공제 혜택을 받지만 많이 틀리는 인적공제 연말정산에서 가장 먼저 입력하는 항목은 바로 "인적공제(부양가족 공제)" 입니다. 연말정산 대상이 누구인지 선택하는 과정이며 기본공제 항목 중 가장 큰 공제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인적공제는 연말정산의 시작이며, 가장 기본이되는 항목입니다. 인적공제는 근로자 본인 및 배우자, 생계를 같이하는 부양가족 즉, 가족을 부양하는 데 쓰는 비용을 고려하여 연말정산 소득세 산출 과정에서 일정액을 공제하는 제도입니다. 단순히 부양가족만 입력하면 끝이나기 때문에 대부분의 근로자는 연말정산 중 유일하게 어렵게 느끼지 않는 공제 항목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의외로 많은 분들이 헷갈려서 부당공제로 적발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연말정산의 시작, 가장 큰 혜택을 받지만 ..
연금 받는 부모님, 연말정산 부양가족 대상일까요? 지난 글에서 연말정산 인적공제에 대해 알아보며, 따로 사는 부모님도 기본공제를 받을 수 있다고 알려드렸습니다. 그러나 만 60세 이상이며, 연간 소득금액 100만원 (근로소득만 있는 경우 총급여 500만원) 이하인 경우만 부양가족으로 인정 받을 수 있죠. 그렇다면 연금을 받고 있는 부모님은 연말정산 기본공제 대상에 포함될까요? 만약 부모님의 소득이 국민연금만 수령하고 있다면, 부양가족 기본공제로 등록할 수 있는 요건은 총 연금액이 약 516만원 이하인 경우만 가능합니다. 연간 100만원을 초과하는 연금을 수령하는데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연말정산 인적공제에 부양가족으로 등록 가능한 소득 요건은 100만원 이하지만, 노령연금은 연간 연금액 전액에 대하여 과세..
2021년 연말정산 인적공제, 얼마나 공제 받을 수 있나요? 사회초년생 등 연말정산을 한 번도 경험하지 못했거나, 이미 여러차례 경험한 직장인도 연말정산을 너무 어렵게만 생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연말정산은 단순하게 생각해서 1년 동안 근로자가 낸 세금을 정확히 계산하여 더 낸 것은 돌려 받고, 덜 낸 것은 추가로 내는 것을 말합니다. 근로자는 급여를 받을 때 이미 세금을 공제하고 받습니다. 1년 동안 얼마를 벌었고, 얼마나 소비할지 또 그래서 얼마를 공제해야 할지 모르기 때문에, 연간 급여를 대략적으로 환산하여 세금을 미리 징수하는 것이죠. 이를 원천징수라고 합니다. 흔히 근로자들이 연봉을 이야기 할 때 세전, 세후 연봉을 이야기하죠? 원천징수 의무자인 회사에서 근로자에게 급여를 지급할 때 세금을 미리..
2018년 종합소득세 과세표준 완벽정리 종합소득세 과세표준이란? 일년간 발생한 종합소득금액에 인적 공제 및 공제액을 차감한 금액을 과세표준이라 합니다. 여기에 소득세율(6%~42% 과세표준에 따라 차등 적용)을 적용하여 산출한 금액이 바로 산출세액입니다. 인적공제란 본인과 배우자 그밖에 생계를 함께하는 부양가족에 대한 당해 소득자 생계비용을 고려하여 기본공제와 추가공제를 하는 것이며, 경로자 공제는 70세 이상인 경우이고 부녀자 공제는 종합소득금액이 3천만원 이하인 거주자에 한하고 있습니다. 공제금액에 대해서 알아볼까요? 기본공제는 1인당 150만원이고 경로자공제는 100만원, 장애인공제는 200만원, 부녀자공제는 50만원, 한부모 공제는 100만원입니다. 기본공제는 기본공제대상 가족 수에 따라 1명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