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HowTo - 윈도우 명령 프롬프트 창에서 자동 완성 기능 활성화
윈도우 명령 프롬프트를 자주 이용하는 사용자라면, CMD 창에서 자동 완성 기능을 설정하는 것이 편리합니다. 간단한 명령어로 자동 완성 기능을 활성화 시킬 수 있고,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이용하여 영구적으로 변경이 가능합니다.
참고로 이전 버전과 달리 Windows 10 버전에서는 간편하게 Tab 키를 이용하여, 명령 프롬프트 자동 완성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별도로 기능을 활성화하거나, 변경 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러나 Tab 키를 이용할 경우 현재 위치의 모든 폴더, 파일 이름을 자동 완성하므로, 파일 및 폴더 타입에 따라 자동 완성을 구분하여 사용하고 싶은 분이라면 조금 번거롭게 느낄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오늘은 명령 프롬프트에서 파일 및 폴더를 구분하여 자동 완성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명령 프롬프트 자동 완성 활성화
일반적으로 윈도우 명령 프롬프트 사용자는 복사 및 붙여넣기를 편하게 하기 위하여 CMD 옵션의 [빠른 편짐 모드(Q)]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명령 프롬프트에서 빠른 편집 모드를 선택하고, 원하는 파일 이름을 드래그한 뒤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면, 해당 파일 이름을 간편하게 Copy & Paste 할 수 있습니다. 이 역시 유용한 방법이지만, 자동 완성 기능을 사용하면 한결 더 편하겠죠?
윈도우 명령 프롬프트 사용자라면 빠른 편집 모드 옵션 외에도 기본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Tab 키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탭 키는 파일 및 폴더 구분 없이 순서대로 자동 완성 문자를 생성합니다. 물론 해당 파일의 첫 글자만 입력하여 보다 빠르게 찾을 수 있습니다.
cmd /f:on
cmd /f:off
현재 세션에 대해 자동 완성 기능을 활성화하고, Ctrl+Shift+D 키를 누르면 폴더 이름만 자동 완성합니다. 특정 폴더만 찾고 싶을 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현재 세션에 대해 자동 완성 기능을 활성화하고, Ctrl+Shift+F 키를 누르면 파일 이름만 자동 완성합니다. 특정 파일만 찾고 싶을 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현재 사용중인 명령 프롬프트 창을 닫거나, 현재 세션에서 자동 완성 기능을 중지하고 파일 및 폴더 자동 완성 키 조합을 누르면 동작하지 않고 ^D, ^F 키가 입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명령 프롬프트에서 자동 완성을 영구적으로 활성화하고 싶다면 Win+R 키를 누르고 실행 창에서 [regedit] 입력 후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합니다.
다음 레지스트리 키로 이동 후 [CompletionChar] 값을 찾아 [값 데이터(V):]를 [9]로 설정합니다. 변경 후 폴더 이름 자동 완성이 활성화됩니다.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Command Processor
또한 [PathCompletionChar] 값을 찾아 [값 데이터(V):]를 [9]로 설정합니다. 변경 후 Tab 키를 이용한 파일 이름 자동 완성이 활성화됩니다.
윈도우 명령 프롬프트 창에서도 리눅스 Bash Shell 처럼 긴 폴더 또는 파일 이름을 쉽게 입력할 수 있는 자동 완성 기능을 사용해보시길 바랍니다.
'IT > How to'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10 현재 암호를 몰라도 관리자 비밀번호 변경하는 방법 (2) | 2020.12.24 |
---|---|
윈도우10 메모장 타임 스탬프 자동 기록 방법 (작업 로그 활용) (0) | 2020.12.23 |
윈도우10 명령 프롬프트에서 IP 변경하는 방법 (CMD Netsh) (2) | 2020.12.23 |
Mozilla Firefox HTTPS 전용 모드 활성화로 보안 강화하기 (2) | 2020.12.21 |
크롬 병렬 다운로드 기능 활성화로 속도 개선(Parallel Download) (3) | 2020.12.07 |
구글 드라이브 PDF 파일을 편집 가능한 문서로 변환하기 (0) | 2020.12.06 |
크롬 주소 표시줄 Chrome Actions 버튼 활용 방법 (설정 작업 트리거) (0) | 2020.12.02 |
Microsoft Edge PDF Reader, 한 화면에서 두 페이지 보기 (0) | 2020.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