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Internet - Steam Client WebHelper 메모리 사용량 줄이기
스팀(Steam) 클라이언트를 실행 및 로그인 후 작업 관리자를 살펴보면, 아무런 게임을 실행하지 않아도 300MB 또는 400MB 가량의 메모리를 사용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조금 더 자세히 들여다 보면, 다른 응용 프로그램과 마찬가지로 스팀 역시 웹 브라우저가 내장되어 있으며, 이 내장 웹 브라우저의 이름은 "Steam Client WebHelper"로 스팀을 시작하면 일반적으로 백그라운드에서 여러 WebHelper 프로세스가 실행됩니다.
물론 최신 게임용 PC를 구입한 사용자라면 겨우 2~300MB 메모리 점유율은 큰 문제가 아닙니다. 그러나 게임을 하는 동안 메모리 여유를 조금이라도 확보하고 싶다면, 쉽고 확실한 방법입니다.
스팀, 메모리 사용량 300MB → 30MB 줄이는 방법
사용자에 따라서 불필요할 수 있는 Steam Client WebHelper 프로세스를 제거하고, 최소한의 메모리를 사용하며 스팀을 실행하고 싶다면 숨겨진 명령어 옵션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STEP 01. 스팀 바로 가기 사본 생성
바탕 화면에서 기존 Steam 아이콘을 Ctrl 키를 누르고 선택 후 드래그하여 복사본을 만듭니다. 기존 바로 가기 아이콘과 구분하기 위해 이름은 "Steam no-browser mode"로 변경합니다.
STEP 02. 스팀 -no-browser 명령어 삽입
생성된 아이콘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 뒤 [속성(R)]을 클릭합니다.
속성 창에서 [바로 가기] 탭 선택 후 [대상T):] 입력 상자에서 스팀 실행 파일 뒤에 공백을 주고 다음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no-browser +open steam://open/minigameslist
STEP 03. 스팀 소형 모드 실행
-no-browser 옵션을 추가한 스팀 아이콘을 이용하여 앱 실행 후 로그인 합니다.
스팀은 웹 브라우저(WebHelper) 구성 요소 없이 소형 모드로 실행됩니다. 실제 메모리 점유율도 낮아졌는지 확인합니다.
STEP 04. 메모리 절감 확인
작업 관리자에서 메모리 사용량을 살펴보면 32.5MB 사용중으로 기존 대비 10배 가량 점유율이 줄었습니다. 물론 사용자에 따라 최소, 최대 편차는 다를 수 있지만, 메모리 점유율을 분명히 낮출 수 있는 방법임에는 틀림 없습니다.
참고로 스팀 보기 메뉴에서도 no-browser 모드처럼 크게/작게 볼 수 있지만, 여전히 스팀의 WebHelper 프로세스는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며 메모리를 점유하고 있습니다.
만약 no-browser 모드에서 [보기 → 크게 보기]를 선택하더라도 브라우저가 비활성화된 것을 알리는 메시지만 표시됩니다.
물론 기존 스팀 바로 가기 아이콘 원본은 그대로 존재하며, 사용자가 원할 경우 no-browser 모드로 실행한 스팀을 종료하고, 기존 바로 가기를 이용해 스팀을 실행할 경우 기존처럼 스팀을 이용해 상점을 이용하고, 커뮤니티 기능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Tips > Intern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 지메일(Gmail)에서 보내는 이름 변경하기 (0) | 2020.12.08 |
---|---|
유튜브 시크릿 모드로 비공개 동영상 시청방법 (Android & iOS) (0) | 2020.12.06 |
구글에서 MP3, AVI, MKV 등 직접 파일 링크 검색 (intitle:index.of?) (0) | 2020.11.24 |
사이트 방문 전 위험한지 확인, Google Safe-Browsing (2) | 2020.11.20 |
유효기간 3년 네이버 인증서 발급 방법, 공인인증서 대체하기 (0) | 2020.11.13 |
유튜브 자녀 보호, 제한모드로 부적절한 영상 숨기기 (0) | 2020.11.11 |
하나은행 인증서 갱신, 타기관 등록 OTP 오류 해결 (0) | 2020.11.10 |
네이버 메일 용량 무료로 최대 25GB 추가로 얻기 (클라우드 용량설정) (0) | 2020.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