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산후조리원 A to Z
출산한 산모가 몸과 마음이 편안한 상태로 안정을 취하고, 산후후유증이 남지 않도록 관리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사실 산후조리는 우리나라만의 출산 문화 중 하나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과거 대가족으로 구성된 가구가 많아, 어른들의 도움으로 산후조리가 가능했지만 현대에 들어서 점점 핵가족화, 소규모 가족 구성원으로 변화함에 따라 집에서 산모 혼자 제대로 된 산후조리가 힘들어졌습니다.
이렇게 변화된 환경탓에 현재 산후조리원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습니다.
물론 지나칠 정도로 비싼 산후조리원 가격 때문에 친정이나 시댁에서 산후조리를 하거나 출산도우미를 통한 산후조리도 선택할 수 있지만, 아무래도 조리원에서 모유수유법과 산모와 아기를 위한 마사지, 산모를 위한 가벼운 운동 프로그램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어 대부분의 출산 가정에서는 무리를 하더라도 산후조리원을 이용하는 추세입니다.
산후조리원을 선택할 때 주의할 점!
자동차가 많이 통행하는 시끄러운 길가나 계단이 많은 곳은 피해야 합니다. 산후조리의 가장 큰 목적은 산모의 몸과 마음을 충분히 회복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산모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환경을 가진 곳이어야 합니다.
산후조리원을 선택할 때, 위와 같은 주의 사항들을 꼼꼼히 살펴보기 어렵다면, 먼저 이용한 산모들의 만족도가 높은 곳을 선택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단 요즘 인터넷을 통해 살펴보면 믿을만한 후기인지 단순한 광고인지 구별하기가 어렵습니다.
보건복지부 전국 산후조리원 현황
보건복지부 홈페이지 접속 후 우측 상단의 돋보기 모양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돋보기 모양 아이콘을 클릭하면, 검색창이 나타납니다.
검색창에 '전국 산후조리원'으로 조회 후 정보 탭을 클릭한 뒤 '전국 산후조리원 현황(최신 날짜 선택)'을 클릭해주세요.
전국 산후조리원 현황 글 중 가장 최신에 작성된 것을 클릭하여, 첨부파일(엑셀)을 다운로드 받아주세요.
내려받은 첨부파일을 실행하면 위와 같이 전국 산후조리원 현황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현황표에서는 지역, 산후조리원명, 주소, 전화번호, 이용요금, 임산부실 정원 및 휴·폐업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비싼 산후조리원 비용 탓에 부담이 있지만, 일생에 한 두번이라는 이유로 대부분의 산모들은 산후조리원을 이용하곤 합니다. 그러나 자신의 가계 소득 수준에 도저히 이용할 수 없는 가정도 분명 있습니다.
친정이나 시댁에서 산후 조리를 받을 수 없는 분이라면 산후조리원의 10분의 1 수준의 비용으로도 산모와 아기를 돌봐주는 산후 도우미를 집에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바로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사 지원사업을 통해 경기도의 경우 산모의 자녀 수에 따라 10일부터 많게는 20일까지도 이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다만 산모와 배우자의 소득 수준에 따라서 지원 여부가 결정되기 때문에, 서비스를 신청하기 전에 거주지에 소재한 보건소에 문의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산후조리원 이용에 부정적인 배우자라면?
유럽이나 미국 등 소위 선진국이란 곳에서도 산모가 출산 후 출혈만 없다면 두 시간쯤 뒤 샤워를 하고 퇴원하지만 우리나라는 오래전부터 산모의 몸을 따뜻하게 하기위해 더운 방안에 두는 것이 전통인 탓에, 현재까지도 산후조리원이란 방식으로 이어지는 것 같습니다.
겁없는 남편들이여~ 아무리 겁이 없어도 산후조리원은 꼭 필요합니다. 당신을 위해..... ^^
'Tips > Infant Ca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린이집 입학, 양육수당↔보육료 전환 신청방법 (보육서비스 변경신청) (0) | 2018.07.02 |
---|---|
양육수당 온라인 신청하기 (행복출산 원스톱 서비스) (0) | 2018.06.20 |
출생·양육수당 신청서 작성방법 (출산 서비스 통합처리 신청서) (0) | 2018.06.15 |
우리동네 출산,육아지원금은? (출산장려금 완벽정리) (1) | 2018.06.14 |
출생신고 준비물 및 출생신고서 작성법, 참 쉽죠? (0) | 2018.06.13 |
어린이집 입소신청 전 꼭 확인해야 할 사항! (0) | 2018.06.04 |
어린이집 입소대기신청 꿀팁 (국공립 및 사립 경쟁률) (0) | 2018.06.01 |
임신주수별 정부지원혜택 정리 (출산, 육아정책) (0) | 2018.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