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년 근로장려금 신청자격 및 신청기간, 신청방법 등 완벽정리 근로장려금이 뭔지 잘 몰라서, 내가 받을 수 있을지 몰라서 또는 신청 방법이 복잡할까봐 그냥 넘어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근로장려금 제도란, 일은 하지만 소득이 적어 생활이 어려운 근로자, 사업자(전문직 제외)가구에 대하여 가구원 구성과 근로소득, 사업소득 또는 종교인소득에 따라 산정된 근로장려금을 지급함으로써 근로를 장려하고 실질소득을 지원하는 근로연계형 소득지원 제도입니다. 근로장려금은 가구원 구성에 따라 정한 부부합산 총급여액 등을 기준으로 지급액을 산정하는데, 2023년부터 근로장려금 재산요건 완화 및 지급액 증가 등 일부 내용이 변경되었습니다. 국세청 홈택스에서 간단한 정보를 입력하면 신청안내대상 여부 조회 및 자신이 받을 수 있는..

국세청 홈택스에서 전년도 매출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 사업자가 신고한 부가가치세 매출과세표준과 납부세액을 증명하는 민원서류를 '부가가치세 과세표준증명원'이라고 하며, 사업장을 운영하며 은행이나 보증기관 또는 대출관련 등의로 문의할 때 제출해야 할 서류 중 하나입니다. 부가가치세 과세표준증명원은 세무서에 직접 방문하여 발급받을 수 있지만, 국세청 홈택스 또는 손택스(모바일 앱)을 통해서도 간편하게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홈택스 부가가치세 과세표준증명 발급 방법 부가가치세 과세표준증명원은 세무서 전산처리 기간에 따라 신고된지 며칠 지나지 않은 내역은 확인할 수 없을 수도 있으니 이용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국세청 홈택스(hometax.go.kr) 사이트에서 본인인증(사업자) 로그인 후 초기화면 상단의 [민원증..

연말정산에서 가장 기본이 되면서 헷갈리기 쉬운 부양가족 인적공제 A to Z “인적공제(부양가족 공제)는 사실상 싱글세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신용카드, 현금영수증, 주택자금공제 등 납세자가 일정액을 사용할 때 공제받을 수 있는 반면, 인적공제는 납세자 본인에 대해서는 조건 없이 150만원을 공제받고, 부양가족의 소득과 나이 요건만 맞으면 1명당 150만원씩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배우자와 20세 이하의 자녀, 60세 이상인 부모님에 대한 인적공제가 대표적입니다. 인적공제 여부에 따른 절세액은 생각보다 큽니다. 예를 들어 총급여가 4,500만원인 근로자가 본인 인적공제 1명을 받았을 때 절세액은 22만 5천원입니다. 그러나 동일한 급여를 받는 근로자가 부양가족 요건을 충족하는 배우자와 자녀..

연말정산 간소화에서 조회되지 않는 의료비·교육비 등 준비 필요! 국세청 홈택스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가 지난 15일부터 개통되었습니다. 근로자라면 간소화 서비스에 접속하여 각종 공제 항목들을 한 번에 조회하고 내려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간소화 자료를 모두 내려받았다고 해서 당장 모든 준비가 완료된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영수증 발급기관이 제출하는 날짜가 다를 수 있으며, 일부 누락된 자료가 있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가 개통되는 1월 15일에 자료를 조회하는 것보다 증명서류 발급기관이 국세청에 제출하는 최종 마감일인 1월 20일까지 기다렸다가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마감일 이후에도 조회되지 않는 자료가 있는 경우 간소화 자료를 면밀히 검토하여 근로자가 직접 영수증 ..

휴직·이직·퇴직자의 연말정산은 언제, 어디서 하나요? 연말정산은 기본적으로 회사에 계속 근로 중인 사람을 기준으로 이뤄집니다. 그러나 소득세법에 따라 퇴사, 휴직, 이직 등 관련 규정도 명시되어 있습니다. 소득세법 137조에 따르면 회사에 계속 근로 중인 사람의 연말정산은 원천징수의무자인 회사가 재직자에게 소득을 지급한 해의 다음연도 2월분 급여를 지급하는 때에 이뤄집니다. 제137조(근로소득세액의 연말정산) ① 원천징수의무자는 해당 과세기간의 다음 연도 2월분의 근로소득 또는 퇴직자의 퇴직하는 달의 근로소득을 지급할 때에는 다음 각 호의 순서에 따라 계산한 소득세(이하 이 조에서 “추가 납부세액”이라 한다)를 원천징수한다. 근로소득자의 해당 과세기간(퇴직자의 경우 퇴직하는 날까지의 기간을 말한다. 이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