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Internet - 종합부동산세 국세청 홈택스에서 편하게 납부하세요
올해 종합부동산세 납부 대상자라면 국세청으로부터 우체국 등기로 납세고지서를 받게 됩니다. 종부세 합산배제 신고안내문처럼 일반 우편물로 받을 수 있다면 편할텐데 등기로 발송되는 탓에 2차에 걸쳐 수령하지 못한다면, 관할 우체국까지 찾으러가는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경우 국세청 홈택스에서 최근 1년 이내에 발송된 우편물(등기, 일반, 모바일우편)을 조회할 수 있는 '우편물 발송내역 조회' 서비스를 이용해, 아직 우편물을 받지 못했더라도 관련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9월에 국세청으로부터 종합부동산세 합산배제 신고안내문을 고지 받았다면, 종합부동산세 납세고지서일 활률이 높습니다.
바쁜 시간을 내어 우체국까지 방문할 필요 없이, 우편물 미리보기를 통해 납세 고지서를 출력하고 또 납부할 수 있습니다. 또한 납세 고지서를 들고 우체국, 은행에 방문하실 필요 없이, 홈택스에서 편하게 납부하시면 됩니다.
오늘은 국세청 홈택스에서 종부세 조회 및 납부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홈택스 종합부동산세 납부 방법
국세청 홈택스 접속 및 인증서 로그인 후 [신고/납부 → 국세납부] 메뉴를 선택합니다.
납부할 세액 조회납부 페이지에서 [조회하기] 버튼을 누르고, 목록에 표시된 세액 확인 후 해당 항목 체크 박스 선택 및 납부세액 입력란에 고지된 세액을 입력하고 [납부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 종합부동산세 과세물건에 대한 상세 내역 및 산출 자료를 확인하고 싶다면, "종합부동산세 과세물건 조회, 계산법! 종부세 알고 냅시다!" 포스트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국세 인터넷 납부 팝업창에서 [이용약관] 모두 동의 후 스크롤을 아래로 내려봅니다.
결제수단은 "계좌이체, 신용카드, 간편결제" 중 선택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계좌이체로 진행해보겠습니다. 하단의 [납부하기] 버튼을 클릭 → 총 납부금액 확인 → 전자서명 확인 → 공인인증서 확인 순서대로 진행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신용카드 납부시 납부세액의 0.8%, 체크카드인 경우 0.5% 추가부담이 발생합니다.
또한 간편결제 역시 동일하게 추가부담이 있으니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납부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납부결과에서 '정상납부' 문구가 표시됩니다.
다시 한 번 납부내역조회 페이지에서 [조회하기] 버튼을 클릭하여, 정상적으로 납부가 완료되었는지 확인합니다. 또한 국세전자납부확인서 출력이 필요한 경우 이 곳에서 출력하실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종합부동산세 홈택스 전자납부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도움이 되셨나요?
'Tips > Intern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SC제일은행 타행 OTP 등록 방법 (0) | 2020.04.14 |
---|---|
정부24 진료 내역 확인 방법 (부당청구, 실비보험 누락) (0) | 2020.04.09 |
KDB 산업은행 타행 OTP 등록 방법 (0) | 2020.03.21 |
유튜브 건너뛰기 못하는 광고, 즉시 중단하는 방법 (2) | 2020.01.06 |
브라우저 클라우드간 인증서 복사 방법 (1회성 본인인증 팁) (0) | 2019.11.30 |
국세청 등기(우편물)을 받지 못했다면? 홈택스 우편물 미리보기 서비스 (1) | 2019.11.29 |
브라우저 인증서 내보내기, 가져오기 방법 (타 기기, 브라우저 복사) (0) | 2019.11.27 |
공인인증서를 브라우저 인증서로 변환, 인증서 클라우드 연결 방법 (2) | 2019.11.26 |